사사기 8장 13절~21절 설교 – 신실과 응보의 길에서

사사기 8장 13절~21절 본문

13. 요아스의 아들 기드온이 헤레스 비탈 전장에서 돌아오다가
14. 숙곳 사람 중 한 소년을 잡아 신문하매 숙곳 방백과 장로 칠십칠 인을 그를 위하여 기록한지라
15. 기드온이 숙곳 사람들에게 이르러 가로되 너희가 전에 나를 기롱하여 이르기를 세바와 살문나의 손이 지금 어찌 네 손에 있관대 우리가 네 피곤한 사람에게 떡을 주겠느냐 한 그 세바와 살문나를 보라 하고
16. 그 성읍 장로들을 잡고 들가시와 질려로 숙곳 사람들을 징벌하고
17. 브누엘 망대를 헐며 그 성읍 사람들을 죽이니라
18. 이에 세바와 살문나에게 묻되 너희가 다볼에서 죽인 자들은 어떠한 자이더뇨 대답하되 그들이 너와 같아서 모두 왕자 같더라
19. 가로되 그들은 내 형제 내 어머니의 아들이니라 내가 여호와의 사심으로 맹세하노니 너희가 만일 그들을 살렸더면 나도 너희를 죽이지 아니하였으리라 하고
20. 그 장자 여델에게 이르되 일어나 그들을 죽이라 하였으나 그 소년이 칼을 빼지 못하였으니 이는 아직 어려서 두려워함이었더라
21. 세바와 살문나가 가로되 네가 일어나 우리를 치라 대저 사람이 어떠하면 그 힘도 그러하니라 기드온이 일어나서 세바와 살문나를 죽이고 그 약대 목에 꾸몄던 새 달 형상의 장식을 취하니라

사사기 8장 전체 본문 보러가기 

신실과 응보의 길에서 – 사사기 8장 13절~21절 설교

하나님의 심판과 그분의 공의는 때로 우리 인간들에게 고통스럽고 어려울 수 있지만, 성경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정의와 응보에 대한 이야기를 배웁니다. 사사기 8장 13절부터 21절까지의 본문은 기드온의 이야기와 그의 전쟁 후의 행적에 대해 서술하고 있으며, 이는 하나님의 신실함을 두려워해야 할 분이며, 죄와 불의에는 반드시 응보가 따른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요아스의 아들 기드온은 이스라엘이 여러 방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하나님의 사람으로 일어나 믿음으로 큰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장면은 전쟁터에서 승리한 그가 헤레스 비탈을 통과하며 돌아오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승리를 거부하고 조롱했던 숙곳의 방백과 장로들에 대한 심판의 순간으로 이야기가 전환됩니다.

기드온은 숙곳 사람들에게 피곤하고 지친 자신의 군대에게 빵을 달라 청했습니다. 그러나 숙곳 사람들은 세바와 살문나가 아직 기드온의 수중에 없다며 그의 요청을 조롱하고 거절했습니다. 이는 상호간의 도움과 협력이 필요한 시기에 이웃에 대한 배려와 연대가 결여된 행위였으며, 결과적으로 이는 기드온을 통한 심판을 자초한 것이었습니다.

이 이야기는 우리에게 대면할 수 있는 어려움 속에서도 우리가 어떻게 하나님의 뜻대로 행동해야 하는지, 그리고 우리의 행위가 지닌 의미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할 것을 요구합니다. 현대적 적용으로 볼 때, 우리는 이 사회에서 살아가며 겪는 정의와 불의, 도움을 청하는 이웃과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에 대한 교훈을 얻습니다. 우리가 다른 이를 도울 때, 그들이 가진 지위나 능력을 기준으로 행동해서는 안 되며, 오히려 하나님의 사랑과 공의를 실천해야 합니다.

기드온의 이야기는 우리의 행동에 책임을 진다는 것과 하나님의 정의가 영원하다는 것을 일깨워줍니다. 하나님의 뜻에 반하여 불의를 행하는 자들에게는 심판이 있음을 기억하며, 우리는 언제나 정의롭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그리고 하나님 앞에서 우리는 우리의 행동과 그 결과에 대해 답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기드온의 이야기는 하나님의 손이 우리 삶 속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삶을 살아야 하는지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불의에는 하나님의 심판이 따르며, 우리의 행동은 하나님의 공의에 기초해야 함을 기억해야 합니다. 오늘 본문의 이야기롤 통해 신실함의 길을 걸으며 응보의 심판을 받지 않도록 우리 각자의 마음에 심은 도덕적 책임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으면 합니다. 아멘.

성경 사사기에 관하여

사사기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 땅을 정복한 후, 하나님을 잊고 우상을 숭배하며 죄를 짓는 과정을 반복하는 역사를 담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을 버리고 타락할 때마다, 하나님은 그들을 징계하기 위해 다른 민족들을 사용하십니다. 백성들이 고통 속에서 회개하면, 하나님은 사사(판관)를 보내 구원하시고 평화의 시기를 가져옵니다. 이 순환적 패턴은 인간의 죄성과 하나님의 자비로운 구원 행위를 반복적으로 보여줍니다. 사사기는 리더십의 중요성과 하나님께 대한 지속적인 충성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책입니다.

그 중 사사기 8장은 견고한 신앙과 용기를 가진 견인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견인은 미디안 사람들과의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고, 이후에도 국민들을 이끌어 나가며 신앙과 용기를 보여줍니다. 그러나 이야기는 견인이 승리 후에 국민들의 욕심과 자만으로 인해 신앙을 잊고 헛된 우상 숭배를 시작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 장은 우리에게 용기와 신앙이 어떻게 영향력을 행사하며, 자만과 형식적인 숭배는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를 경고합니다. 우리는 견인의 예를 본받아 용기와 신앙을 가지고 삶을 살아가야 함을 배울 수 있습니다.

사사기 8장 관련 성경 및 설교 읽기

제임스 권의 성경 묵상 사이트에서는 성경 본문과 그에서 비롯한 설교문을 매일 업로드 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