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사기 3장 12절~30절 설교 – 용기와 구원의 소명

사사기 3장 12절~30절 본문

12. 이스라엘 자손이 또 여호와의 목전에 악을 행하니라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의 목전에 악을 행하므로 여호와께서 모압 왕 에글론을 강성케하사 그들을 대적하게 하시매
13. 에글론이 암몬과 아말렉 자손들을 모아가지고 와서 이스라엘을 쳐서 종려나무 성읍을 점령한지라
14. 이에 이스라엘 자손이 모압 왕 에글론을 십팔 년을 섬기니라
15.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께 부르짖으매 여호와께서 그들을 위하여 한 구원자를 세우셨으니 그는 곧 베냐민 사람 게라의 아들 왼손잡이 에훗이라 이스라엘 자손이 그를 의탁하여 모압 왕 에글론에게 공물을 바칠 때에
16. 에훗이 장이 한 규빗 되는 좌우에 날선 칼을 만들어 우편 다리 옷 속에 차고
17. 공물을 모압 왕 에글론에게 바쳤는데 에글론은 심히 비둔한 자이었더라
18. 에훗이 공물 바치기를 마친 후에 공물을 메고 온 자들을 보내고
19. 자기는 길갈 근처 돌 뜨는 곳에서부터 돌아와서 가로되 왕이여 내가 은밀한 일을 왕에게 고하려 하나이다 왕이 명하여 종용케 하라 하매 모셔 선 자들이 다 물러간지라
20. 에훗이 왕의 앞으로 나아가니 왕은 서늘한 다락방에 홀로 앉아 있는 중이라 에훗이 가로되 내가 하나님의 명을 받들어 왕에게 고할 일이 있나이다 하매 왕이 그 좌석에서 일어나니
21. 에훗이 왼손으로 우편 다리에서 칼을 빼어 왕의 몸을 찌르매
22. 칼자루도 날을 따라 들어가서 그 끝이 등뒤까지 나갔고 그가 칼을 그 몸에서 빼어내지 아니하였으므로 기름이 칼날에 엉기었더라
23. 에훗이 현관에 나와서 다락문들을 닫아 잠그니라
24. 에훗이 나간 후에 왕의 신하들이 와서 다락문이 잠겼음을 보고 가로되 왕이 필연 다락방에서 발을 가리우신다 하고
25. 그들이 오래 기다려도 왕이 다락문을 열지 아니하는지라 열쇠를 취하여 열고 본즉 자기 주가 이미 죽어 땅에 엎드러졌더라
26. 그들의 기다리는 동안에 에훗이 피하여 돌 뜨는 곳을 지나 스이라로 도망하니라
27. 그가 이르러서는 에브라임 산지에서 나팔을 불매 이스라엘 자손이 산지에서 그를 따라 내려오니 에훗이 앞서 가며
28. 무리에게 이르되 나를 따르라 여호와께서 너희 대적 모압 사람을 너희의 손에 붙이셨느니라 하매 무리가 에훗을 따라 내려가서 모압 맞은편 요단강 나루를 잡아 지켜 한 사람도 건너지 못하게 하였고
29. 그 때에 모압 사람 일만 명 가량을 죽였으니 다 역사요 용사라 한 사람도 피하지 못하였더라
30. 그 날에 모압 사람이 이스라엘의 수하에 항복하매 그 땅이 팔십 년 동안 태평하였더라

사사기 3장 전체 본문 보러가기 

용기와 구원의 소명 – 사사기 3장 12절~30절 설교

이스라엘은 여호와의 목전에서 연속적으로 악을 행하고, 그 결과로 모압 왕 에글론에 의해 심판을 받게 됩니다. 사람의 눈에 분명한 결과가 닥치고, 이스라엘 백성은 십팔 년 동안이나 모압의 지배에 시달립니다. 이러한 어두운 시기에 사사 에훗이 등장하며, 이스라엘의 구원자로서 하나님의 놀라운 계획을 이뤄 나갑니다.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께 부르짖는 그들의 절박함 속에서 하나님께서 에훗을 통해 구원의 길을 열어 주십니다.

에훗은 베냐민 지파 소속의 왼손잡이로 표현되고 있습니다. 당시 왼손잡이가 됨으로 인해 에훗은 모압 왕 에글론에게 접근하고 그를 암살하는 특별한 방법을 찾아내게 됩니다.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하나님께서 그의 고유한 특성을 사용하여 이스라엘에게 승리를 가져오게 하십니다. 에훗은 왼손으로 우편 다리에 숨겨진 칼을 빼내 에글론 왕을 찔러 죽입니다.

에훗의 용기 있는 행동을 통해,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억압하는 모압의 손에서 자유롭게 하시며 평화를 되찾으십니다. 그는 에브라임 산지에서 나팔을 분 후, 이스라엘 자손들을 이끌고 모압과의 결정적인 전투에 승리하게 됩니다. 이러한 하나님의 역사하심은 이스라엘에게 팔십 년간의 태평을 안겨 주고, 바로 그곳에서 평화를 음미할 수 있는 시간을 선사합니다.

현대 사회에 적용해 보면, 우리는 때때로 우리의 약점이나 한계가 하나님의 구원 계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망각하기 쉽습니다. 하나님은 에훗의 왼손잡이라는 독특한 특성을 사용하셨듯, 우리의 삶에 있는 각자의 개성과 특별함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때로는 우리가 믿음의 순종과 용기를 가지고 전진할 때 하나님께서 어떻게 그것들을 축복의 도구로 사용하실지를 우리는 가늠하기 어렵습니다.

영적 교훈과 적용면에서, 이 이야기는 우리에게 용기를 내고 우리의 소명을 인식할 것을 강조합니다. 하나님은 우리 각자를 독특하게 창조하셨으며, 우리의 삶에서 유일한 목적을 가지고 계십니다. 때로는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해 우리의 약점을 사용하시기도 하시고, 우리가 기대하지 않았던 방식으로 우리를 사용하십니다. 우리는 에훗처럼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도 용감하게 하나님의 인도를 따라 행동하라는 부름을 받습니다.

결론적으로, 사사기 3장 12절에서 30절까지의 본문은 하나님이 어떻게 이스라엘을 구원하고 평화를 주시는지 묘사합니다. 이야기 속 에훗과 같이, 각자의 삶에서 하나님께서 정하신 소명을 용기 있게 이행하고, 우리 주변의 도전에 대응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겠습니다. 우리의 약함과 힘듦 속에서도 하나님께서 어떻게 우리를 사용하여 큰 일을 이루실 수 있는지를 신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선하신 뜻 안에서 당당히 서서 우리 각자의 신앙을 견고히 하여야 할 것입니다. 아멘.

성경 사사기에 관하여

사사기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 땅을 정복한 후, 하나님을 잊고 우상을 숭배하며 죄를 짓는 과정을 반복하는 역사를 담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을 버리고 타락할 때마다, 하나님은 그들을 징계하기 위해 다른 민족들을 사용하십니다. 백성들이 고통 속에서 회개하면, 하나님은 사사(판관)를 보내 구원하시고 평화의 시기를 가져옵니다. 이 순환적 패턴은 인간의 죄성과 하나님의 자비로운 구원 행위를 반복적으로 보여줍니다. 사사기는 리더십의 중요성과 하나님께 대한 지속적인 충성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책입니다.

그 중 사사기 3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죄에 빠져 구원을 필요로 하는 사이클을 보여주는 이야기입니다. 이 장에서는 이스라엘 백성이 다른 신들을 숭배하고 하나님의 명령을 어기며 죄에 빠지게 됩니다. 그 결과로 이스라엘은 이웃 나라의 지배를 받게 되고 고통과 압박을 겪게 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이 회개하고 돌아오는 것을 보시며 구원을 내려주십니다. 이 장은 우리에게 죄와 구원의 사이클을 경계하고, 하나님의 은혜와 회개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사사기 3장 관련 성경 및 설교 읽기

제임스 권의 성경 묵상 사이트에서는 성경 본문과 그에서 비롯한 설교문을 매일 업로드 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