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사기 20장 29절~48절 설교 – 평화를 잃은 땅, 심판의 그늘

사사기 20장 29절~48절 본문

29. 이스라엘이 기브아 사면에 군사를 매복하니라
30. 이스라엘 자손이 제삼일에 베냐민 자손에게로 치러 올라가서 전과 같이 기브아를 대하여 항오를 벌이매
31. 베냐민 자손이 나와서 백성을 맞더니 꾀임에 빠져 성읍을 떠났더라 그들이 큰 길 곧 한편은 벧엘로 올라가는 길이요 한편은 기브아의 들로 가는 길에서 백성을 쳐서 전과 같이 이스라엘 사람 삼십 명 가량을 죽이기 시작하며
32. 스스로 이르기를 이들이 처음과 같이 우리 앞에서 패한다 하나 이스라엘 자손은 이르기를 우리가 도망하여 그들을 성읍에서 큰 길로 꾀어내자 하고
33. 이스라엘 사람이 모두 그 처소에서 일어나서 바알다말에 항오를 별였고 그 복병은 그 처소 곧 기브아 초장에서 쏟아져 나왔더라
34. 온 이스라엘 사람 중에서 택한 사람 일만이 기브아에 이르러 치매 싸움이 심히 맹렬하나 베냐민 사람은 화가 자기에게 미친줄을 알지 못하였더라
35.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앞에서 베냐민을 쳐서 파하게 하시매 당일에 이스라엘 자손이 베냐민 사람 이만 오천일백을 죽였으니 다 칼을 빼는 자이었더라
36. 이에 베냐민 자손이 자기가 패한 것을 깨달았으니 이는 이스라엘 사람이 기브아에 매복한 군사를 믿고 잠간 베냐민 사람 앞을 피하매
37. 복병이 급히 나와 기브아에 돌입하고 나아가며 칼날로 온 성읍을 쳤음이더라
38. 처음에 이스라엘 사람과 복병 사이에 상약하기를 성읍에서 큰 연기가 치미는 것으로 군호를 삼자 하고
39. 이스라엘 사람은 싸우다가 물러가고 베냐민 사람은 이스라엘 사람 삼십 명 가량을 쳐 죽이기를 시작하며 이르기를 이들이 정녕 처음 싸움 같이 우리에게 패한다 하다가
40. 연기 구름이 기둥 같이 성읍 가운데서 일어날 때에 베냐민 사람이 돌아보매 온 성읍에 연기가 하늘에 닿았고
41. 이스라엘 사람은 돌이키는지라 베냐민 사람이 화가 자기에게 미친 것을 보고 심히 놀라
42. 이스라엘 사람 앞에서 몸을 돌이켜 광야 길로 향하였으나 군사가 급히 추격하며 각 성읍에서 나온 자를 그 가운데서 진멸하니라
43. 그들이 베냐민 사람을 에워쌌더니 기브아 앞 동편까지 쫓으며 그 쉬는 곳에서 짓밟으매
44. 베냐민 중에서 엎드러진 자가 일만 팔천이니 다 용사더라
45. 그들이 몸을 돌이켜 광야로 도망하여 림몬 바위에 이르는 큰 길에서 이스라엘이 또 오천 명을 이삭 줍듯 하고 또 급히 따라 기돔에 이르러 또 이천 명을 죽였으니
46. 이 날에 베냐민의 칼을 빼는 자의 엎드러진 것이 모두 이만 오천이니 다 용사더라
47. 베냐민 육백 명이 돌이켜 광야로 도망하여 림몬 바위에 이르러 거기서 넉 달을 지내었더라
48. 이스라엘 사람이 베냐민 자손에게로 돌아와서 온 성읍과 가축과 만나는 자를 다 칼날로 치고 닥치는 성읍마다 다 불살랐더라

사사기 20장 전체 본문 보러가기 

평화를 잃은 땅, 심판의 그늘 – 사사기 20장 29절~48절 설교

사사기 20장 29절부터 48절까지의 말씀은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 중 하나였던 베냐민 지파에 대한 전쟁과 그로 인한 끔찍한 재앙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구절들은 극도의 폭력과 분쟁의 비극이 어떻게 공동체를 파괴하는지 보여주며, 신앙 공동체가 힘을 통합하여 죄악에 맞서 싸울 때 보여줄 수 있는 결속력과 하나님의 심판적 정의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자손들은 기브아에 대한 전술을 바꾸어 전투를 준비합니다. 그들은 군사를 매복시키고 베냐민 자손을 유혹하여 성 밖으로 끌어낸 다음, 복병을 이용해 반격합니다. 이 계획은 잔혹하게 성공하며,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자손의 손을 빌려 베냐민 자손을 처벌하십니다. 여기서 우리는 심판의 심각성과 전쟁의 참혹함을 보게 됩니다. 이 절들은 포로로 잡히거나, 전멸하거나, 끝내는 도망치는 베냐민 자손의 비참한 운명을 묘사합니다.

이 기록에서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 될 부분은, 인간의 죄가 어떻게 심판을 자초하는지 보여준다는 것입니다. 베냐민 지파는 자신들의 죄로 인해 이스라엘의 다른 지파들로부터 심판을 받습니다. 하나님께서는 그들의 불의에 대해 정의롭게 판결하시고, 그 결과는 파괴적입니다. 이러한 전쟁의 묘사는 하나님의 거룩함과 공의 앞에서 인간의 몰락을 그리고 있습니다.

오늘날 우리의 세상을 바라볼 때, 전쟁과 분쟁, 폭력의 뉴스는 여전히 흔합니다. 우리는 이러한 세계적인 고난 앞에서도 하나님의 공의와 은혜를 신뢰해야 합니다. 우리가 본문 속 베냐민 자손처럼 고통받고, 심지어 심판받을 수도 있는 삶을 살지라도, 하나님의 영원한 목적과 구원 계획 안에서 우리에게 주어진 역할을 찾아야 합니다.

성경은 우리에게 사사기시대처럼 하나님이 임재하지 않는 사회의 혼란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자손들을 통해 심판을 내리셨고, 그 심각성은 에스겔서에서도 강조됩니다. 에스겔 33장 11절에 따르면, 하나님께서는 “너희는 회개하고 너희의 행위를 버리라. 너희가 죽음을 보지 않을지라도”라고 말씀하시며, 회개를 통한 구원의 길을 열어놓으십니다.

우리의 삶과 공동체에서도 이 메시지는 중요합니다. 우리가 한 개인이든, 한 나라든, 하나님 앞에서 죄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회개해야 합니다. 공동체 모두가 참된 평화를 향해 나아가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겸손과 사랑으로 살아가야 합니다. 마태복음 5장 9절에서는 “화평하게 하는 자마다 복이 있나니 그들이 하나님의 자녀라 일컬음을 받을 것임이요”라고 선언합니다. 우리의 역할은 이 세상에 하나님의 평화를 이루는 것에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사사기의 말씀은 분쟁과 전쟁의 시대에도 하나님의 뜻을 구하고, 평화를 잃은 땅에 거룩한 정의와 사랑을 실현해야 한다는 절실한 호소입니다. 우리가 서로를 사랑하고 서로의 상처를 치료할 때, 우리의 영적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습니다. 평화와 사랑의 하나님이신 우리 주님의 은혜가 오늘도 우리 모두에게 있기를 기도합니다. 아멘.

성경 사사기에 관하여

사사기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 땅을 정복한 후, 하나님을 잊고 우상을 숭배하며 죄를 짓는 과정을 반복하는 역사를 담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을 버리고 타락할 때마다, 하나님은 그들을 징계하기 위해 다른 민족들을 사용하십니다. 백성들이 고통 속에서 회개하면, 하나님은 사사(판관)를 보내 구원하시고 평화의 시기를 가져옵니다. 이 순환적 패턴은 인간의 죄성과 하나님의 자비로운 구원 행위를 반복적으로 보여줍니다. 사사기는 리더십의 중요성과 하나님께 대한 지속적인 충성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책입니다.

그 중 사사기 20장은 이스라엘 자손들의 전쟁과 회개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이 장에서는 이스라엘 자손들이 베냐민 지파와의 전쟁을 치르게 되는데, 이는 베냐민 지파 내에서 발생한 악행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스라엘 자손들은 전쟁에서 처음에 패배하고 회개하며 하나님께 구원을 청합니다. 하나님은 그들의 회개를 받아들이고 다시 이스라엘을 인도하며 승리를 안겨줍니다. 이 장은 우리에게 회개와 하나님의 은혜의 중요성을 가르치며, 우리가 죄에서 돌아오고 하나님의 은혜를 받을 수 있는 길을 제시합니다.

사사기 20장 관련 성경 및 설교 읽기

제임스 권의 성경 묵상 사이트에서는 성경 본문과 그에서 비롯한 설교문을 매일 업로드 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