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레미야 47장 1절~7절 설교 – 불가피한 심판과 하나님의 주권

예레미야 47장 1절~7절 본문

1. 바로가 가사를 치기 전에 블레셋 사람에 대하여 선지자 예레미야에게 임한 여호와의 말씀이라
2.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되 보라 물이 북방에서 일어나 창일하는 시내를 이루어 그 땅과 그 중에 있는 모든 것과 그 성읍과 거기 거하는 자들을 엄몰시키리니 사람들이 부르짖으며 그 땅 모든 거민이 애곡할 것이라
3. 힘센 것의 굽치는 소리와 달리는 병거 바퀴의 울리는 소리에 아비의 손이 풀려서 그 자녀를 돌아보지 못하리니
4. 이는 블레셋 사람을 진멸하시며 두로와 시돈에 남아 있는 바 도와 줄 자를 다 끊어 버리시는 날이 이름이라 여호와께서 갑돌 섬에 남아 있는 블레셋 사람을 멸하시리라
5. 가사가 삭발되었고 아스글론과 그들에게 남아 있는 평지가 멸망되었나니 네가 네 몸 베기를 어느 때까지 하겠느냐
6. 여호와의 칼이여 네가 언제까지 쉬지 않겠느냐 네 집에 들어가서 가만히 쉴지어다
7. 여호와께서 이를 명하셨은즉 어떻게 쉬겠느냐 아스글론과 해변을 치려 하여 그가 명정하셨느니라

예레미야 47장 전체 본문 보러가기 

불가피한 심판과 하나님의 주권 – 예레미야 47장 1절~7절 설교

예레미야서 47장은 하나님의 심판이 임박했음을 예고하는 데 그 주제를 두고 있습니다. 이 장에서는 바로 임박한 블레셋에 대한 심판을 예언합니다. 이러한 하나님의 말씀은 당시의 이스라엘뿐만 아니라 이교도들에게까지 그분의 주권이 미치고 있음을 보여 주는 사건입니다.

1절에서는 이 말씀이 바로가 가사를 치기 전, 즉 이집트 왕이 블레셋의 한 성읍을 치기 전에 임했다고 합니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둘러싼 여러 민족들에게도 관여하시고, 그들에 대한 심판을 통해 자신의 목적을 세우심을 드러내는 사건입니다.

2절부터 3절에 이르는 말씀은 대재앙을 예고하는 장엄한 이미지로 가득 차 있습니다. “북방에서 일어나” 라고 언급한 것은 침략자들이 북쪽에서 오는 것을 상징하며, 이는 당시에 매우 흔했던 침략의 방향이기도 했습니다. “창일하는 시내” 는 폭력과 황폐화를 뜻하는 메타포로, 이는 블레셋 땅이 겪게 될 파괴와 고통을 그립니다.

4절에서는 하나님께서 블레셋 사람을 “진멸”하시고 “두로와 시돈에 남아 있는 바 도와 줄 자를 다 끊어 버리시는 날”이라고 표현하십니다. 이는 단순히 한 민족에 대한 전쟁이 아니라, 하나님의 심판이라는 더 큰 개념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심판의 대상은 오로지 블레셋뿐만 아니라 그 동맹인 두로와 시돈에까지 미칩니다.

5절은 블레셋의 큰 성읍인 가사와 아스글론이 언급됩니다. “가사가 삭발되었” 고 “멸망되었” 다는 표현은 하나님의 심판이 이미 진행 중임을 나타냅니다. “네 몸 베기를 어느 때까지 하겠느냐” 라는 질문은 이들이 겪는 고통과 슬픔이 상당함을 보여 줍니다.

6절과 7절에서는 “여호와의 칼”이 언급되며, 이 칼이 쉬지 않고 계속될 것임을 선포합니다. “아스글론과 해변을 치려 하여 그가 명정하셨”다는 부분에서는 이 심판이 단지 사람의 일이 아니라 하나님의 결정에 의해 수행됨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하나님의 주권이 드러납니다. 인간의 역사는 하나님의 통제하에 있으며, 그분의 명령에 따라 움직이는 것입니다.

현대적 적용에서, 이러한 심판의 메시지는 각 세대에도 큰 의미를 가집니다. 우리는 때때로 자신이나 주변 사람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이 하나님의 심판이 아니라 생각하고 싶습니다. 그러나 성경에서 여러차례 언급하는 바와 같이, 하나님의 심판은 종종 그분의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입니다.

그러나 영적 은혜의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예레미야의 예언과 같은 급격하고 폭력적인 심판보다는 우리 마음과 정신에 대한 심판을 받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우리의 반응과 그분의 법에 대한 우리의 순종 여부가 평가받는 것입니다. 예레미야의 선포는 우리에게 그분의 목적과 계획을 신뢰하며 살라는 권면입니다. 계시록 3장 19절 “내가 사랑하는 자들에게는 책망하고 징계하니 네가 열심을 내어 회개하라.” 에서와 같이, 하나님의 징계는 우리의 신앙성장과 올바른 길로 돌아오게 하기 위한 것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예레미야의 예언은 하나님께서 정의를 실현하시고자 세상에 심판을 하실 수 있음을 상기시켜 줍니다. 우리는 이를 경외심으로 받아들이며, 우리의 삶에서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는 겸허한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세상의 소란스러움에 휘둘리지 않고, 이 모든 일이 하나님의 뜻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음을 믿어야 합니다. 하나님의 심판이 결국은 구원과 새로운 창조로 이어질 것을 확신하며, 이러한 믿음으로 살아가는 자가 되길 바랍니다. 아멘.

성경 예레미야에 관하여

예레미야서는 하나님의 백성 이스라엘의 죄에 대한 심판과 그에 따른 포로 생활을 예언합니다. 예레미야는 하나님의 말씀을 전달하는 선지자로서, 백성들의 회개를 촉구하고, 그들의 우상 숭배와 불의한 행위를 꾸짖습니다. 동시에, 예레미야는 심판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끝없는 사랑과 자비를 선포하며, 새 언약의 약속과 미래에 대한 희망을 전합니다. 이 책은 하나님의 공의와 자비가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지를 보여주며, 하나님께서 결국 자신의 백성을 회복시키실 것임을 약속합니다.

그 중 예레미야 47장은 필리스티아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과 그들의 패망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이 장에서는 필리스티아의 도시들이 파괴되고 주변 국가들이 슬퍼하며 고통받는 모습이 묘사됩니다. 하나님은 필리스티아를 심판하고 그들의 교만과 악행에 대한 보복을 행하십니다. 이 장은 우리에게 하나님의 공의와 심판의 신성함을 보여주며, 교만과 악행에 대한 경고를 전합니다. 또한, 하나님의 심판을 피하기 위해 순종하고 회개하는 길을 제시합니다.

예레미야 47장 관련 성경 및 설교 읽기

제임스 권의 성경 묵상 사이트에서는 성경 본문과 그에서 비롯한 설교문을 매일 업로드 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