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왕기하 17장 1절~6절 설교 – 예속과 멸망의 시대, 그리고 하나님의 경고

열왕기하 17장 1절~6절 본문

1. 유다 왕 아하스 십이 년에 엘라의 아들 호세아가 사마리아에서 이스라엘 왕이 되어 구 년을 치리하며
2.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였으나 그 전 이스라엘 여러 왕들과 같이 하지는 아니하였더라
3. 앗수르 왕 살만에셀이 올라와서 호세아를 친고로 호세아가 신복하여 조공을 드리더니
4. 저가 애굽 왕 소에게 사자들을 보내고 해마다 하던 대로 앗수르 왕에게 조공을 드리지 아니하매 앗수르 왕이 호세아의 배반함을 보고 저를 옥에 금고하여 두고
5. 올라와서 그 온 땅에 두루 다니고 사마리아로 올라와서 삼 년을 에워쌌더라
6. 호세아 구년에 앗수르 왕이 사마리아를 취하고 이스라엘 사람을 사로잡아 앗수르로 끌어다가 할라와 고산 하볼 하숫가와 메대 사람의 여러 고을에 두었더라

열왕기하 17장 전체 본문 보러가기 

예속과 멸망의 시대, 그리고 하나님의 경고 – 열왕기하 17장 1절~6절 설교

우리는 역사를 통해 때로는 인류가 어떻게 실패와 멸망의 길을 걸었는지 목격합니다. 열왕기하 17장 1절부터 6절까지의 말씀은 이스라엘의 마지막 왕 호세아와 종말을 맞이한 북이스라엘 왕국의 비극적인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이 단편은 불신앙의 결과, 정치적 허무주의, 그리고 하나님께 불순종한 국가의 최후에 대한 강력한 경고로 읽힙니다.

본문의 배경은 힘겨운 시대의 한 가운데에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왕 호세아는 유다 왕 아하스의 통치 기간 중에 왕위에 오릅니다. 그는 이스라엘의 많은 왕들과 같이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였지만, 그 전의 왕들처럼은 아니라고 평가받습니다. 호세아의 통치는 앗수르 제국의 왕 살만에셀의 지배력 아래 있었으며, 이는 조공을 통해 정치적인 예속 상태에 놓여 있음을 의미합니다.

호세아는 앗수르 왕에게 배반하여 애굽 왕을 구애하려 하지만 결국 살만에셀에게 붙잡혀 옥에 갇히게 됩니다. 이후 앗수르군은 이스라엘의 땅을 침략하여 삼 년 동안 사마리아를 포위합니다. 결국 호세아의 구 년에 사마리아는 함락되고 이스라엘 백성은 포로로 잡혀 앗수르로 끌려가며 이는 북이스라엘 왕국의 비극적인 종말을 알립니다.

이 역사적 사건은 정치적인 생존전략이 하나님의 뜻과 대적할 경우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를 보여주는 예입니다. 인간의 계획과 하나님이 정하신 길 사이에 모순이 발생할 때, 우리는 어떠한 선택을 해야 할지를 고민해 보아야 합니다. 인간적인 계산으로는 앗수르에게 예속되는 대신 애굽에 의존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으로 보일 수 있었지만, 호세아의 판단은 결국 그와 북이스라엘에게 재앙을 가져다 줍니다.

현재의 우리에게 이러한 역사의 교훈이 말해주는 바는 무엇일까요? 우리는 이 세상의 강대국과 그 속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싸우고 있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에는 각자 자신의 이익을 위한 계략과 연합이 쉴 새 없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명심해야 합니다. 하나님이 우리 각자에게 주신 사명과 뜻을 이해하고, 그 뜻에 순종하는 것이 우리의 길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오늘날의 교회는 북이스라엘의 실패에서 교훈을 얻어 현명하고 신실한 행동을 구현해야 합니다. 우리가 세상의 생각과 가치에 침식되지 않고,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드높이며 살아갈 때, 우리는 정치적인 환경이나 사회적인 압박에 굴하지 않는 하나님의 사람들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시간에 우리는 자신의 신앙과 하나님에 대한 충성을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세상에 대한 우리의 반응이 하나님의 뜻에 일치하는가? 우리의 교회와 공동체가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압력에 흔들리지 않는가? 우리의 삶이 하나님의 나라와 그의 의를 추구하는데 소비되고 있는가? 이 질문들에 대한 답이 곧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을 지시해 줄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열왕기하의 이 단편은 우리에게 역사 속에서 하나님의 백성이 경험한 예속과 멸망을 되돌아보게 하며, 우리가 어떻게 하나님의 길을 따라 성경적인 원칙에 기초해 살아갈지를 묵상하게 합니다. 우리는 이 교훈을 마음에 새겨야 하며, 우리의 삶과 신앙이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는 데 진정한 열매를 맺기를 기도합니다. 아멘.

성경 열왕기하에 관하여

열왕기하는 이스라엘과 유다 왕국의 역사를 계속해서 기록하며, 왕들의 통치와 하나님에 대한 그들의 충성도를 다룹니다. 이 책은 하나님의 법을 준수하는 왕들과 그렇지 않은 왕들의 행적을 통해 하나님의 심판과 축복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보여줍니다. 엘리사의 예언 사역, 여러 왕들의 통치, 북이스라엘 왕국의 멸망, 유다 왕국의 쇠퇴와 바벨론 포로기로의 이어지는 사건들이 포함됩니다. 열왕기하는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순종이 개인과 국가에게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를 보여주는 역사적 기록입니다.

그 중 열왕기하 17장은 이스라엘의 배반과 하나님의 은혜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이 장에서는 이스라엘의 왕들이 하나님의 명령을 어기고 다른 신들을 숭배하며 죄악에 빠져들었습니다. 이로 인해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처벌하기 위해 앗수르 왕국을 일으켰습니다. 이 장은 우리에게 하나님의 충성과 순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배반과 죄악이 어떻게 하나님과의 관계를 파괴하는지를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그러나 이스라엘에게도 은혜를 베풀며 회개와 돌아오기를 기다리고 계십니다. 이 장은 우리에게 하나님의 은혜와 회개의 필요성을 깨닫게 하며,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삶을 바르게 살아가는 동기를 부여합니다.

열왕기하 17장 관련 성경 및 설교 읽기

제임스 권의 성경 묵상 사이트에서는 성경 본문과 그에서 비롯한 설교문을 매일 업로드 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