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왕기상 12장 25절~33절 설교 – 인간의 계획과 영적 미혹

열왕기상 12장 25절~33절 본문

25. 여로보암이 에브라임 산지에 세겜을 건축하고 거기서 살며 또 거기서 나가서 부느엘을 건축하고
26. 그 마음에 스스로 이르기를 나라가 이제 다윗의 집으로 돌아가리로다
27. 만일 이 백성이 예루살렘에 있는 여호와의 전에 제사를 드리고자 하여 올라가면 이 백성의 마음이 유다 왕 된 그 주 르호보암에게로 돌아가서 나를 죽이고 유다 왕 르호보암에게로 돌아가리로다 하고
28. 이에 계획하고 두 금송아지를 만들고 무리에게 말하기를 너희가 다시는 예루살렘에 올라갈 것이 없도다 이스라엘아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올린 너희 신이라 하고
29. 하나는 벧엘에 두고 하나는 단에 둔지라
30. 이 일이 죄가 되었으니 이는 백성들이 단까지 가서 그 하나에게 숭배함이더라
31. 저가 또 산당들을 짓고 레위 자손 아닌 보통 백성으로 제사장을 삼고
32. 팔월 곧 그 달 십오일로 절기를 정하여 유다의 절기와 비슷하게 하고 단에 올라가되 벧엘에서 그와 같이 행하여 그 만든 송아지에게 제사를 드렸으며 그 지은 산당의 제사장은 벧엘에서 세웠더라
33. 저가 자기 마음대로 정한 달 곧 팔월 십오일로 이스라엘 자손을 위하여 절기로 정하고 벧엘에 쌓은 단에 올라가서 분향하였더라

열왕기상 12장 전체 본문 보러가기 

인간의 계획과 영적 미혹 – 열왕기상 12장 25절~33절 설교

여로보암 왕은 북왕국 이스라엘을 다스리게 된 국왕이었고, 그의 행적은 열왕기상 12장 25절부터 33절까지 매우 중요한 교훈을 역사를 통해 우리에게 전달합니다. 그는 두려움과 권력 유지에 대한 열망 속에서 영적인 미혹으로 백성들을 인도했으며, 이러한 행위는 결국 그의 나라를 파멸로 이끄는 죄가 되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정치적 조치가 종교적 신념과 어떻게 상충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충돌이 가지는 심오한 영적 결과를 통찰할 수 있습니다.

여로보암은 에브라임 산지에 세겜을 재건하고 부느엘을 건축하며 자신의 왕국을 확립합니다. 그러나 그는 스스로 한 가지 중대한 문제에 부닥칩니다. 여로보암의 마음속 두려움은 백성들이 예루살렘의 성전으로 돌아가면 자신을 배반하고 다시 유다 왕 르호보암에게 충성할 것이라는 생각에 이릅니다. 여로보암이 잊고 있는 것은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언제나 그들의 선조들과의 언약을 지키신다는 사실입니다. 하나님은 출애굽기 20장의 십계명을 통하여 그분만을 섬길 것과 우상을 만들지 말라는 분명한 명령을 주신 바 있습니다.

이러한 자신의 두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여로보암은 금송아지 두 개를 만듭니다—a clear violation of God’s commandment not to create idols—and convinces the people that these are the gods that led them out of Egypt. 상황은 더욱 악화되어 단지 우상만이 아니라, 여로보암은 레위 자손이 아닌 보통 백성들을 제사장으로 삼고, 자신이 만든 절기를 축하하기 위해 산당을 짓습니다. 유다 왕국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자신의 정치적 위치를 보존하기 위한 여로보암의 모든 행위들은 결국 이스라엘을 미혹으로 이끄는 방식입니다.

여로보암의 예는 오늘날에도 매우 관련성이 높습니다. 우리 사회는 매일 다양한 우상과 잘못된 가치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많은 경우, 권력이나 성공을 위한 추구가 우리의 신앙과 정체성을 흐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시대에 우리는 여로보암이 저지른 실수를 되새기며, 정치적이든 사회적이든 개인적이든 우리의 계획과 행동이 하나님의 말씀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깊게 성찰해야 합니다.

여로보암의 사례에서 우리가 배울 수 있는 교훈은 계획과 행동의 올바른 기준이 무엇인지를 식별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법은 오직 한 분 하나님만을 사랑하고 섬기는 것, 즉 우상 숭배로 이어지지 않는 순수한 경배입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섬기면서 혹시 우리 자신의 금송아지를 만들고 있지는 않은지, 그리고 우리의 행동이 하나님에 대한 충성에 어긋나지는 않는지 돌아보아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여로보암의 이야기는 우리에게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상기시켜 줍니다. 우리의 행동이 주님의 뜻과 따르는 지, 혹은 이기적인 가치와 두려움에 의해 인도되고 있는지를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의 믿음은 행동과 결정에 있어서 하나님의 뜻에 발맞춰야 하며, 그렇게 할 때 우리는 참된 축복과 평안을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아멘.

성경 열왕기상에 관하여

열왕기상은 이스라엘 왕국의 역사를 다루며, 특히 솔로몬 왕의 통치와 그 이후 왕국의 분열을 기록합니다. 솔로몬의 지혜와 번영의 시대로 시작하지만, 그의 타락과 우상 숭배로 인한 하나님의 심판과 왕국의 분열로 이어집니다. 이 책은 다양한 왕들의 통치와 그들의 하나님에 대한 순종과 불순종이 가져온 결과를 보여주며,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정체성과 충성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열왕기상은 지도자의 도덕적, 영적 결정이 국가와 백성에게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역사적 서사입니다.

그 중 열왕기상 12장은 이스라엘의 분열과 어긋남의 결과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장에서는 솔로몬의 아들 로보암이 왕위를 계승하고, 백성들이 그에게 요구하는 부담을 더하려는데, 로보암은 현명한 조언을 듣지 않고 자기의 권력을 과시하려 합니다. 이로 인해 분열이 일어나고 이스라엘은 북쪽의 이스라엘 왕국과 남쪽의 유다 왕국으로 나뉘게 됩니다. 이 장은 우리에게 권력과 지혜의 중요성을 가르치며, 어긋남과 분열이 어떻게 근본적인 문제를 야기하는지를 보여줍니다. 또한, 하나님의 지혜와 인도하심을 찾아야 하는 동기를 부여합니다.

열왕기상 12장 관련 성경 및 설교 읽기

제임스 권의 성경 묵상 사이트에서는 성경 본문과 그에서 비롯한 설교문을 매일 업로드 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