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기 16장 36절~50절 설교 – 분노와 은혜 사이에서

민수기 16장 36절~50절-분노와 은혜 사이에서

민수기 16장 36절~50절 본문

36.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
37. 너는 제사장 아론의 아들 엘르아살을 명하여 붙는 불 가운데서 향로를 취하여다가 그 불을 타처에 쏟으라 그 향로는 거룩함이니라
38. 사람들은 범죄하여 그 생명을 스스로 해하였거니와 그들이 향로를 여호와 앞에 드렸으므로 그 향기가 거룩하게 되었나니 그 향로를 쳐서 제단을 싸는 편철을 만들라 이스라엘 자손에게 표가 되리라 하신지라
39. 제사장 엘르아살이 불탄 자들의 드렸던 놋 향로를 취하여 쳐서 제단을 싸서
40. 이스라엘 자손의 기념물이 되게 하였으니 이는 아론 자손이 아닌 외인은 여호와 앞에 분향하러 가까이 오지 못하게 함이며 또 고라와 그 무리 같이 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라 여호와께서 모세로 그에게 명하신 대로 하였더라
41. 이튿날 이스라엘 자손의 온 회중이 모세와 아론에게 원망하여 가로되 너희가 여호와의 백성을 죽였도다 하고
42. 회중이 모여 모세와 아론을 칠 때에 회막을 바라본즉 구름이 회막을 덮었고 여호와의 영광이 나타났더라
43. 모세와 아론이 회막 앞에 이르매
44.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
45. 너희는 이 회중에게서 떠나라 내가 순식간에 그들을 멸하려 하노라 하시매 그 두 사람이 엎드리니라
46. 이에 모세가 아론에게 이르되 너는 향로를 취하고 단의 불을 그것에 담고 그 위에 향을 두어 가지고 급히 회중에게로 가서 그들을 위하여 속죄하라 여호와께서 진노하셨으므로 염병이 시작되었음이니라
47. 아론이 모세의 명을 좇아 향로를 가지고 회중에게로 달려간즉 백성 중에 염병이 시작되었는지라 이에 백성을 위하여 속죄하고
48. 죽은 자와 산 자 사이에 섰을 때에 염병이 그치니라
49. 고라의 일로 죽은 자 외에 염병에 죽은 자가 일만 사천칠백 명이었더라
50. 염병이 그치매 아론이 회막문 모세에게로 돌아오니라

민수기 16장 전체 본문 보러가기 

분노와 은혜 사이에서 – 민수기 16장 36절~50절 설교

이스라엘의 여정에서 발생한 고라의 반역은 교만과 불순종의 심각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민수기 16장 36절부터 50절까지는 고라의 반역에 따른 여호와의 진노와 그 상황 속에서 아론을 통해 나타난 구원의 손길을 보여 줍니다. 이슬과 같은 하나님의 말씀이 하나님의 자녀로 거듭난 우리에게 어떤 교훈을 가져다주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불에 타 죽은 사람들의 놋 향로들을 가져다가 쳐서 제단을 싸는 편철로 만들도록 명령하십니다. 이것은 하나님 앞에서 불순종의 대가임과 동시에, 순종해야 할 경각심을 일깨우는 기념물로서 이스라엘 자손에게 주어집니다. 여기서 반역자들의 향로가 거룩한 용도로 재활용된 것은 실패와 죄를 정화하고 하나님 앞에 새로운 목적으로 바치는 회복과 은혜의 상징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모든 일 이후에도 불평과 원망은 멈추지 않습니다. 회중은 모세와 아론을 향해 고함을 지르며, 자신들의 불행의 책임을 그들에게 돌립니다. 이러한 모습은 우리에게 신앙의 여정이 순탄치만은 않음을 상기시킵니다. 불신과 불평이 영적 성장의 장애물이 되곤 하는 것입니다. 이에 여호와의 분노가 다시금 회중을 향해 나타나며 염병이 창궐하기 시작합니다.

그 순간, 모세의 지혜로운 지시와 아론의 신속한 행동은 또 다른 하나님의 구원을 이끌어 내는 계기가 됩니다. 모세는 아론에게 단에서 불을 가져다가 향로에 넣고, 속죄의 향을 두어 회중의 죄를 대신 하나님 앞에 드리게 합니다. 이는 중보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하나님의 진노를 막고자 하는 적극적인 신앙 행위의 전형입니다. 하나님의 은혜는 염병이 확산되는 것을 멈추게 하고, 다시금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절망 속에서도 희망을 선사합니다.

이와 같은 사건은 우리에게 두 가지 중대한 교훈을 줍니다. 첫째, 하나님 앞에서의 오만과 불순종은 결코 가벼운 일이 아님을 일깨웁니다. 하나님은 거룩하시며, 그분의 명령에 순종하는 것은 우리의 신앙과 순례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자세입니다. 둘째, 우리가 삶에서 경험할 어떤 고난이나 위기 상황에서도, 중보자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하고 우리의 죄를 대속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아론의 행위와 모세의 지혜는 우리에게 중보자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와 함께, 심오한 은총을 새삼 일깨워 줍니다. 우리는 불평과 원망 속에서도 하나님의 진노를 멈추게 하고, 우리의 중보자가 되시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 감사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단순히 불순종의 결과를 피하는 것뿐만 아니라, 우리의 죄를 정화하고 거룩한 목적으로 재창조하는 하나님의 능력에 칭송을 드려야 할 것입니다. 아멘.

성경 민수기에 관하여

민수기는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를 떠나 약속의 땅으로 향하는 여정을 기록합니다. 이 책은 인구 조사, 법규, 제사, 그리고 광야에서의 다양한 사건들을 통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정체성과 순종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민수기는 또한 이스라엘 백성이 겪는 반역, 불평, 그리고 하나님에 대한 불신의 순간들을 다루며, 이에 대한 하나님의 징계와 용서를 보여줍니다. 이 책은 하나님의 지속적인 인도하심과 백성들이 약속의 땅에 들어가기 위해 영적, 도덕적, 사회적으로 준비되어야 함을 강조합니다.

그 중 민수기 16장은 교만한 코라와 그의 동료들이 모세와 아론의 지도에 반항하는 이야기입니다. 그들은 제사장으로서의 자격을 주장하고자 하였지만, 하나님은 모세와 아론을 택하여 그들에게 권한을 주셨습니다. 하나님은 교만한 자들을 징계하고 그들에게 경고를 내리셨습니다. 이 장은 우리에게 교만과 복종의 결과를 보여주며, 하나님의 지도와 권위를 존중하고 복종하는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또한, 하나님의 은혜와 인도하심을 받아 복종하는 삶을 살아가야 함을 알려줍니다.

민수기 16장 관련 성경 및 설교 읽기

제임스 권의 성경 묵상 사이트에서는 성경 본문과 그에서 비롯한 설교문을 매일 업로드 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

글쓴이: 제임스 권

일리노이주의 작은 도시에서 하나님을 섬기며 지내는 목사입니다. 많은 분들이 하나님과 더 깊은 관계를 구축하길 소망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