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명기 29장 22절~29절 설교 – 진노와 자비 속에서 충성을 배우다

신명기 29장 22절~29절-진노와 자비 속에서 충성을 배우다

신명기 29장 22절~29절 본문

22. 너희 뒤에 일어나는 너희 자손과 원방에서 오는 객이 그 땅의 재앙과 여호와께서 그 땅에 유행시키시는 질병을 보며
23. 그 온 땅이 유황이 되며 소금이 되며 또 불에 타서 심지도 못하며 결실함도 없으며 거기 아무 풀도 나지 아니함이 옛적에 여호와께서 진노와 분한으로 훼멸하신 소돔과 고모라와 아드마와 스보임의 무너짐과 같음을 보고 말할 것이요
24. 열방 사람들도 말하기를 여호와께서 어찌하여 이 땅에 이같이 행하셨느뇨 이같이 크고 열렬하게 노하심은 무슨 뜻이뇨 하면
25. 그 때에 사람이 대답하기를 그 무리가 자기의 조상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그 조상을 애굽에서 인도하여 내실 때에 더불어 세우신 언약을 버리고
26. 가서 자기들이 알지도 못하고 여호와께서 그들에게 주시지도 아니한 다른 신들을 섬겨 그에게 절한 까닭이라
27. 이러므로 여호와께서 이 땅을 향하여 진노하사 이 책에 기록된 모든 저주대로 재앙을 내리시고
28. 여호와께서 또 진노와 분한과 크게 통한하심으로 그들을 이 땅에서 뽑아내사 다른 나라에 던져 보내심이 오늘날과 같다 하리라
29. 오묘한 일은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 속하였거니와 나타난 일은 영구히 우리와 우리 자손에게 속하였나니 이는 우리로 이 율법의 모든 말씀을 행하게 하심이니라

신명기 29장 전체 본문 보러가기 

진노와 자비 속에서 충성을 배우다 – 신명기 29장 22절~29절 설교

사랑하는 교우 여러분, 신명기 29장의 이 구절은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에게 보여주신 진노의 결과와 그 이유를 세세하게 기술하고 있습니다. 이 구절은 흥미롭게도 이스라엘 민족의 장래 세대들과 다른 민족들이 어떻게 이러한 재앙을 목격하는지에 관해 말씀합니다. 재앙은 지나간 역사 속의 한 순간으로만 남겨져 있지 않고, 미래 세대들에게도 하나님의 심판에 대한 경고로 기억될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여호와의 분노는 이스라엘 백성의 불순종 때문에 부어졌습니다. 그 불순종의 핵심은 하나님과 맺은 언약을 져버린 것입니다. 그들은 에집트에서 인도해 내신 하나님을 버리고 다른 신들을 숭배했습니다. 바로 이 점 때문에 하나님이 그들에게 징계하신 것입니다. 그리고 이 재앙은 그들이 약속의 땅에서 추방되어 다른 민족들 가운데로 흩어지게 되는 극적인 사건으로 이어집니다.

열방 사람들은 이스라엘에 겨눠진 하나님의 분노를 보고 의아해할 것입니다. 이러한 반응은 오늘날에도 마찬가지로 우리가 하나님의 일에 대해 질문할 때가 있습니다. “하나님, 왜 이런 일이 일어나는 건가요?” 라고 우리도 묻곤 합니다. 그러나 본문에서는 이러한 물음에 대한 답을 이미 주고 있습니다. 하나님과의 관계를 소홀히 하고, 다른 신을 따랐을 때 뜻하지 않은 결과가 생긴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경고는 오늘날 우리에게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우리도 우리의 삶 속에서 하나님과 맺은 언약을 어기고, 잘못된 우상을 따를 때가 있습니다. 이는 우리의 일상에서 우리가 소비하는 것, 우리가 목표로 하는 것, 우리가 사랑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혹시 우리가 불의한 경제체제를 묵인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혹은 가족이나 사회보다 개인의 성공을 더 높게 평가하는 것은 아닌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신명기 29장 29절은 하나님의 독특한 방식으로 우리에게 위안과 도전을 동시에 줍니다. “오묘한 일은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 속하였거니와…”라는 말씀을 통해 하나님이 인간의 이해를 넘어서는 분임을 환기시킵니다. 우리는 모든 것을 이해할 수는 없지만, 나타난 일 즉, 하나님의 법과 계명은 우리가 지키고 행해야 할 명확한 가르침임을 일깨워줍니다.

따라서 우리의 책임은 여호와의 오묘한 일에 대한 경외와 함께, 이미 계시된 말씀을 실천에 옮기는 것입니다. 우리는 매일의 삶에 성경이 요구하는 정의와 공의, 자비와 순종을 실천함으로써 하나님과의 언약을 지켜나가야 합니다. 우리가 서로를 어떻게 대하는지, 우리가 만드는 결정이 온 세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심사숙고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진노에 관한 메시지는 두려움을 불러일으키지만, 동시에 하나님의 자비와 계획에 순종함으로써 우리가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에 대한 영적 지혜도 얻게 해줍니다. 혹시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져 있지 않은지, 하나님이 우리에게 부여하신 직분과 소명에 충실하게 살고 있는지 스스로 반문해봅시다. 우리가 하나님과의 관계를 바로잡고, 그분이 우리에게 주신 율법과 계명을 따를 때, 비로소 올바른 삶의 길을 걸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지금 이 순간도,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 속에서 살아가는 것에 감사해야 하며, 하나님을 두려워하며 그분의 뜻대로 행동하는 삶을 추구해야 합니다. 오늘 본문의 메시지를 마음에 새기며, 하나님과 맺은 언약을 충실하게 이행할 수 있는 충성된 자녀들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아멘.

성경 신명기에 관하여

신명기는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신 마지막 연설을 담고 있으며, 율법의 재확인과 순종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 책은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에 들어가기 전에, 하나님과의 언약을 기억하고 그 법규를 지킬 것을 촉구합니다. 모세는 백성들에게 하나님의 명령을 따르면 복을 받고, 불순종하면 저주를 받을 것임을 상기시킵니다. 신명기는 또한 사회적 정의, 이웃 사랑, 겸손한 삶의 가치를 강조하며,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자신처럼 사랑하는 것이 모든 계명의 요약임을 선언합니다.

그 중 신명기 29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여호와와 세운 언약을 다시 확인하고 의무를 다하는 중요한 장입니다. 이 장에서 모세는 백성에게 하나님의 은혜와 인도를 상기시키며, 언약을 지키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그러나 모세는 또한 백성이 언약을 어기고 죄악에 빠질 수도 있다고 경고합니다. 이 장은 우리에게 하나님과의 언약의 의미와 의무를 상기시키며, 하나님의 은혜와 용서를 받아 삶을 거룩하게 사는 동기를 부여합니다.

신명기 29장 관련 성경 및 설교 읽기

제임스 권의 성경 묵상 사이트에서는 성경 본문과 그에서 비롯한 설교문을 매일 업로드 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

글쓴이: 제임스 권

일리노이주의 작은 도시에서 하나님을 섬기며 지내는 목사입니다. 많은 분들이 하나님과 더 깊은 관계를 구축하길 소망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