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애굽기 7장 14절~25절 설교 – 거부와 응답 사이의 신앙 여정

출애굽기 7장 14절~25절 본문

14.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바로의 마음이 완강하여 백성 보내기를 거절하는도다
15. 아침에 너는 바로에게로 가라 그가 물로 나오리니 너는 하숫가에 서서 그를 맞으며 그 뱀 되었던 지팡이를 손에 잡고
16. 그에게 이르기를 히브리 사람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나를 왕에게 보내어 이르시되 내 백성을 보내라 그들이 광야에서 나를 섬길 것이니라 하였으나 이제까지 네가 듣지 아니하도다
17. 여호와가 이같이 이르노니 네가 이로 인하여 나를 여호와인줄 알리라 하셨느니라 볼지어다 내가 내 손의 지팡이로 하수를 치면 그것이 피로 변하고
18. 하수의 고기가 죽고 그 물에서는 악취가 나리니 애굽 사람들이 그 물 마시기를 싫어하리라 하라
19. 여호와께서 또 모세에게 이르시되 아론에게 명하기를 네 지팡이를 잡고 네 팔을 애굽의 물들과 하수들과 운하와 못과 모든 호수 위에 펴라 하라 그것들이 피가 되리니 애굽 온 땅에와 나무 그릇에와 돌 그릇에 모두 피가 있으리라
20. 모세와 아론이 여호와의 명하신 대로 행하여 바로와 그 신하의 목전에서 지팡이를 들어 하수를 치니 그 물이 다 피로 변하고
21. 하수의 고기가 죽고 그 물에서는 악취가 나니 애굽 사람들이 하수물을 마시지 못하며 애굽 온 땅에는 피가 있으나
22. 애굽 술객들도 자기 술법으로 그와 같이 행하므로 바로의 마음이 강퍅하여 그들을 듣지 아니하니 여호와의 말씀과 같더라
23. 바로가 돌이켜 궁으로 들어가고 그 일에도 관념하지 아니하였고
24. 애굽 사람들은 하수 물을 마실 수 없으므로 하숫가를 두루 파서 마실 물을 구하였더라
25. 여호와께서 하수를 치신 후 칠 일이 지나니라

출애굽기 7장 전체 본문 보러가기 

거부와 응답 사이의 신앙 여정 – 출애굽기 7장 14절~25절 설교

하나님의 구속 역사 속에서, 출애굽기의 이야기는 하나님이 어떻게 당신의 백성을 불의한 억압으로부터 해방시키시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특히 오늘 우리가 살펴볼 출애굽기 7장 14절에서 25절까지는 이스라엘 백성 해방을 향한 하나님의 선포와 바로의 완악한 거부, 그리고 여기에 따른 첫 번째 재앙의 기록입니다.

여호와께서는 모세를 통해 바로에게 매우 분명한 메시지를 보내십니다. “내 백성을 보내라”는 명령입니다. 이는 단순히 이스라엘 사람들을 놓아주는 행위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인지해야 합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주권과 의지에 대한 경의 표현이자,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선언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백성을 섬기게 하실 목적으로 이들을 해방시키고자 하십니다.

하지만 바로는 완강하게 거부합니다. 그의 마음은 하나님의 권위에 굴복하지 않고, 자신의 권력과 경제적 이익을 위해 하나님의 백성을 억압합니다. 이에 하나님께서는 표적과 경이로운 행적을 통해 바로와 애굽 사람들이 여호와가 바로 그 하나님이심을 알도록 하십니다.

그 첫 번째 재앙이 수자원이 피로 변하는 재앙입니다. 모세와 아론은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여 하수를 치니, 애굽 전역의 물이 피가 되었고, 그 결과 애굽 사람들은 식수를 위해 고생해야 했습니다. 이 재앙은 바로의 경직된 마음을 풀고 하나님의 힘을 드러내는 데 목적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바로의 마음은 더욱 완악해지며, 그의 술객들도 같은 짓을 하여 바로를 경망하게 합니다. 하나님의 강력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바로는 이를 무시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전능하심에 대한 인간의 오만함을 상징합니다. 바로의 태도는 하나님이 얼마나 대단한 분인지 알아차리지 못하는 교만에의 눈먼 결과물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우리는 때때로 바로의 교만함을 닮은 모습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능력이나 지위, 재산에 아는사람 없는 곳에 중점을 둠으로써 하나님의 명령과계획을 무시하는 태도를 보입니다. 우리가 직면하는 기후 변화, 환경 오염과 같은 위기 앞에서도 이와 유사한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나님의 창조 질서에 대한 경외심과 존중이 결여된 채 꾸준히 자원을 소진하고 오염시켜나가는 인류의 행동은 바로의 완강함의 연장선상에 있습니다.

출애굽기의 이 구절은 믿음과 순종, 하나님의 전능하심을 인정하는 신앙 태도의 중요성을 상기시킵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함으로써 얼마나 큰 희망과 구원의 길이 열리는지를 깨달아야 합니다. 아울러 그리스도 안에서 주어진 소명을 이행하기 위해 우리 자신을 드리는 일을 망설이지 말아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출애굽기 7장 14절에서 25절까지의 구절은 하나님께서 바로와 애굽에 내리신 첫 번째 재앙을 통해 하나님의 권위를 확립하시고, 당신의 백성을 자유롭게 하고자 하시는 의지를 분명히 하십니다. 우리는 이를 통해 하나님의 권위에 대한 인정과 순종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고, 우리 삶 속에서도 그분의 뜻에 따라 행동하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아멘.

성경 출애굽기에 관하여

출애굽기는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의 노예 상태에서 해방되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을 다룹니다. 하나님은 모세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을 이집트의 속박에서 구출하시고, 홍해를 가르는 기적을 통해 그들을 구원하십니다. 이후, 시내산에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십계명을 포함한 율법을 주시며, 그들과 언약을 맺습니다. 출애굽기는 하나님의 구속 행위와 그분의 백성에 대한 요구사항을 설명하며, 이스라엘의 정체성과 신앙의 기초를 세우는 역할을 합니다.

그 중 출애굽기 7장은 모세와 아론이 애굽 바로에게 하나님의 명령을 전하고 애굽에 임할 재앙들을 예고하는 이야기입니다. 하나님은 애굽의 강력과 신들을 굴복시키며 자신의 권능을 나타냅니다. 이 장에서는 하나님의 힘과 애굽의 우상들의 무능함을 비교하여 하나님의 위대함과 애굽의 우상 숭배의 헛되이라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권능과 신뢰할 만한 존재임을 깨닫고, 우리의 삶에서 하나님을 찬양하고 순종하는 길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출애굽기 7장 관련 성경 및 설교 읽기

제임스 권의 성경 묵상 사이트에서는 성경 본문과 그에서 비롯한 설교문을 매일 업로드 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