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애굽기 4장 24절~31절 설교 – 하나님의 뜻과 불가피한 순종

출애굽기 4장 24절~31절 본문

24. 여호와께서 길의 숙소에서 모세를 만나사 그를 죽이려 하시는지라
25. 십보라가 차돌을 취하여 그 아들의 양피를 베어 모세의 발 앞에 던지며 가로되 당신은 참으로 내게 피 남편이로다 하니
26. 여호와께서 모세를 놓으시니라 그 때에 십보라가 피 남편이라 함은 할례를 인함이었더라
27. 여호와께서 아론에게 이르시되 광야에 가서 모세를 맞으라 하시매 그가 가서 하나님의 산에서 모세를 만나 그에게 입맞추니
28. 모세가 여호와께서 자기에게 부탁하여 보내신 모든 말씀과 여호와께서 자기에게 명하신 모든 이적을 아론에게 고하니라
29. 모세와 아론이 가서 이스라엘 자손의 모든 장로를 모으고
30. 아론이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하신 모든 말씀을 전하고 백성 앞에서 이적을 행하니
31. 백성이 믿으며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자손을 돌아보시고 그 고난을 감찰하셨다 함을 듣고 머리 숙여 경배하였더라

출애굽기 4장 전체 본문 보러가기 

하나님의 뜻과 불가피한 순종 – 출애굽기 4장 24절~31절 설교

모세의 이야기는 영웅적인 구원자의 길로만 기억되곤 합니다. 그러나 출애굽기 4장 24절에서 31절까지는 하나님이 모세를 죽이려 하셨다는 충격적인 사건을 담고 있어, 우리의 교훈이 되기에 충분합니다. 이 구절들은 하나님의 명령에 대한 순종이 얼마나 절대적인지를 일깨우는 무거운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하나님께서 모세를 죽이려 하실 때, 모세의 아내 십보라는 즉시 행동에 나섭니다. 그녀는 그들의 아들의 할례를 행하고 그 피를 모세에게 던지며 “피 남편”이라 말합니다. 이 행위로 인해 하나님의 분노가 가라앉으셨고 모세는 살아납니다. 이 사건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어진 할례의 명령이 단순한 의식을 넘어서, 하나님과의 언약의 관계를 유지하고 지키는 중요한 행위였음을 보여줍니다.

할례는 단순한 물리적인 행위가 아니라, 성도가 세상과 구별되어 하나님의 사람임을 나타내는 외적인 표시였습니다.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를 나타내는 이 행위는 하나님의 명령에 대한 순종을 상징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법과 규정을 준수하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됩니다.

오늘날의 그리스도인들은 할례라는 구체적인 행위를 지키지는 않지만, 하나님의 뜻을 따르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영적 할례라 할 수 있는 우리의 삶의 태도는 세상에 대한 우리의 분리와 하나님께 대한 우리의 헌신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현대 사회에서의 많은 유혹과 도전 속에서도, 그리스도의 제자로서 우리는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해야 합니다.

또한, 모세와 아론이 이스라엘 자손의 장로들을 모으고 여호와의 메시지를 전달한 절차는, 하나님께서 오늘날 우리에게도 요구하시는 행동과 다르지 않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이를 실천하며, 다른 이들에게도 전파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기도와 성경 읽기, 설교 청취와 같은 내적인 훈련과 더불어, 우리의 믿음을 고백하고 이웃과 나누는 외적인 증거가 포함됩니다.

결국 출애굽기의 이 구절들은 하나님의 뜻을 이해하고 이에 순종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우리는 그리스도께서 우리에게 보여주신 순종의 본을 따라, 신앙적인 결단을 내리고 이를 실행에 옮겨야 합니다.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 안에서 순종하는 삶을 통해, 우리는 마지막 구절 속의 이스라엘 백성들처럼, 하나님의 구원하심을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진정한 신앙인의 삶은, 하나님 앞에서 머리를 숙이고 경배하는 겸손한 마음을 가지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일상 속에서도 하나님의 뜻을 찾고, 그것에 순종하는 일에 진심을 다하는 우리 모두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이 우리 삶에 늘 함께하시기를 기도합니다. 아멘.

성경 출애굽기에 관하여

출애굽기는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의 노예 상태에서 해방되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을 다룹니다. 하나님은 모세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을 이집트의 속박에서 구출하시고, 홍해를 가르는 기적을 통해 그들을 구원하십니다. 이후, 시내산에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십계명을 포함한 율법을 주시며, 그들과 언약을 맺습니다. 출애굽기는 하나님의 구속 행위와 그분의 백성에 대한 요구사항을 설명하며, 이스라엘의 정체성과 신앙의 기초를 세우는 역할을 합니다.

그 중 출애굽기 4장은 모세가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 이스라엘을 구원하기 위해 애굽으로 돌아가는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모세는 하나님의 부르심에 의해 미션을 맡게 되었지만, 그는 자신의 미숙함과 믿음의 부족함으로 인해 도전을 겪습니다. 하나님은 모세의 믿음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표적과 표현을 보여주며 그를 격려합니다. 이 장은 우리에게 하나님의 부르심과 우리가 직면하는 도전에 대한 교훈을 전해줍니다. 우리는 모세의 믿음과 하나님의 축복을 본받아 하나님의 부르심에 따라 행동하고 믿음의 도전을 이겨나갈 수 있습니다.

출애굽기 4장 관련 성경 및 설교 읽기

제임스 권의 성경 묵상 사이트에서는 성경 본문과 그에서 비롯한 설교문을 매일 업로드 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