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레미야 10장 17절~25절 설교 – 분노와 자비 속에서 찾는 영적 교훈

예레미야 10장 17절~25절 본문

17. 에워싸인 가운데 앉은 자여 네 꾸러미를 이 땅에서 수습하라
18.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되 보라 내가 이 땅에 거하는 자를 이번에는 내어던질 것이라 그들을 괴롭게 하여 깨닫게 하리라 하셨느니라
19. 슬프다 내 상처여 내가 중상을 당하였도다 그러나 내가 말하노라 이는 참으로 나의 고난이라 내가 참아야 하리로다
20. 내 장막이 훼파되고 나의 모든 줄이 끊어졌으며 내 자녀가 나를 떠나가고 있지 아니하니 내 장막을 세울 자와 내 장을 칠 자가 다시 없도다
21. 목자들은 우준하여 여호와를 찾지 아니하므로 형통치 못하며 그 모든 양떼는 흩어졌도다
22. 들을지어다 북방에서부터 크게 떠드는 풍성이 오니 유다 성읍들로 황폐케 하여 시랑의 거처가 되게 하리로다
23. 여호와여 내가 알거니와 인생의 길이 자기에게 있지 아니하니 걸음을 지도함이 걷는 자에게 있지 아니하니이다
24. 여호와여 나를 징계하옵시되 너그러이 하시고 진노로 하지 마옵소서 주께서 나로 없어지게 하실까 두려워하나이다
25. 주를 알지 못하는 열방과 주의 이름으로 기도하지 아니하는 족속들에게 주의 분노를 부으소서 그들은 야곱을 씹어 삼켜 멸하고 그 거처를 황폐케 하였나이다

예레미야 10장 전체 본문 보러가기 

분노와 자비 속에서 찾는 영적 교훈 – 예레미야 10장 17절~25절 설교

예레미야 선지자의 이 말씀은 고통과 절망의 한가운데 있다가 다가오는 심판의 사실, 그리고 인간의 연약함을 고발하고 있습니다. 이 슬픔과 절망의 노래는 단지 구약 시대의 이스라엘에게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시대, 모든 사람의 신앙 여정 속에서 일어날 수 있는 범주입니다.

여러분, 우리는 때때로 예레미야와 같은 감정을 경험합니다. 우리의 삶이 무너짐을 느낄 때, 하나님의 부재가 느껴질 때,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정체성이 흔들릴 때 황폐함의 메아리가 우리 마음속에 들릴 수 있습니다.

본문에서 예레미야는 이스라엘의 가슴 아픈 현실을 노래합니다. 그의 장막, 곧 이스라엘 백성의 집이 훼파되고 모든 줄이 끊어짐을 통해, 국가적 재난의 상황을 언급합니다. 그리고 특히 목자들, 즉 지도자들이 우준하여 여호와를 찾지 않음을 규탄하며, 그로 인해 양 떼가 흩어짐을 슬퍼합니다.

이 메시지는 바로 깨어날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신앙이라는 것은 개인적인 경험뿐 아니라 공동체의 지혜와 사고방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우리의 지도자들이, 선생님들이, 교회의 목회자들이 하나님을 찾지 않는다면, 그 공동체는 어떻게 될까요? 결국 흩어지고 망가지는 것입니다.

그러나 본문은 아픔만을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예레미야는 23절에서 하나님께 간구합니다. 그는 인간의 길이 자신에게 있지 않음을 인정하고 그의 길을 하나님께 맡깁니다. 이는 우리 모두에게 굉장히 중요한 교훈입니다. 때로 우리는 모든 것을 제어하려 하고, 우리의 힘으로 모든 것을 해결하려 합니다. 그러나 실상 우리의 길은 우리에게 있지 않습니다. 주님께서 우리의 길을 인도하십니다.

본문에서 예레미야는 또한 하나님께 너그러이 징계해 달라고 청합니다. 그의 간구는 자신의 죄를 인정하는 동시에, 하나님의 엄격한 징계보다는 사랑과 자비를 통한 징계를 바라는 것으로, 이는 우리가 어려움에 처했을 때 하나님의 자비를 구하는 모습입니다.

마지막으로 그는 하나님의 강한 손길이 자신의 백성, 야곱에게 오기를 간청합니다. 그가 말하는 열방과 기도하지 않는 족속들은 마치 이 세상에서 하나님을 거부하는 모든 세력들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바로 그들을 위해서도 기도해야 합니다. 남을 위한 기도가 고통과 분노로 가득 찬 세상에서 필요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결국 우리는 예레미야의 말씀을 통해 다음과 같은 영적 교훈을 얻습니다. 첫째, 우리는 현실을 직시하고 하나님 앞으로 돌아와야 합니다. 둘째, 우리는 스스로의 길을 하나님께 맡기며 그분의 인도를 구해야 합니다. 셋째, 우리는 하나님의 자비와 사랑 안에서 징계를 받아들여야 합니다. 넷째, 우리는 남을 위해 하나님의 이름으로 기도해야 합니다.

교회는 예레미야와 같은 시대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이 고통으로 가득 차 있을지라도, 우리는 하나님의 임재 안에서 희망을 가져야 합니다. 그리고 그 희망이 우리의 기도와 실천으로 나타나야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 모두를 사랑하시고, 어떤 상황에서도 우리의 길을 인도하실 것입니다.

은혜가 여러분 모두에게 있기를 기도합니다. 아멘.

성경 예레미야에 관하여

예레미야서는 하나님의 백성 이스라엘의 죄에 대한 심판과 그에 따른 포로 생활을 예언합니다. 예레미야는 하나님의 말씀을 전달하는 선지자로서, 백성들의 회개를 촉구하고, 그들의 우상 숭배와 불의한 행위를 꾸짖습니다. 동시에, 예레미야는 심판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끝없는 사랑과 자비를 선포하며, 새 언약의 약속과 미래에 대한 희망을 전합니다. 이 책은 하나님의 공의와 자비가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지를 보여주며, 하나님께서 결국 자신의 백성을 회복시키실 것임을 약속합니다.

그 중 예레미야 10장은 우상 숭배와 참 하나님의 신성에 대한 경고와 비교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장에서 예레미야는 우상들이 나무로 만들어진 무익한 것이라고 말하며, 그 대신 참 하나님은 모든 것을 창조하신 전능하신 주님임을 강조합니다. 예레미야는 우상 숭배의 어리석음과 하나님의 신성을 비교하여 백성들에게 올바른 길을 가르치고자 합니다. 이 장은 우리에게 우상 숭배의 유혹과 참 하나님의 신성을 분별하고, 오직 참 하나님만이 우리의 신앙과 숭배의 대상이 되어야 함을 깨닫게 합니다.

예레미야 10장 관련 성경 및 설교 읽기

제임스 권의 성경 묵상 사이트에서는 성경 본문과 그에서 비롯한 설교문을 매일 업로드 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