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레미야애가 1장 7절~11절 설교 – 고난의 무게 속에서 희망의 빛을 보다

예레미야애가 1장 7절~11절 본문

7. 예루살렘이 환난과 군박을 당하는 날에 옛날의 모든 즐거움을 생각함이여 백성이 대적의 손에 빠지나 돕는 자가 없고 대적은 보고 그 황적함을 비웃도다
8. 예루살렘이 크게 범죄하므로 불결한 자 같이 되니 전에 높이던 모든 자가 그 적신을 보고 업신여김이여 저가 탄식하며 물러가도다
9. 저의 더러움이 그 치마에 있으나 결국을 생각지 아니함이여 그러므로 놀랍게 낮아져도 위로할 자가 없도다 여호와여 원수가 스스로 큰 체하오니 나의 환난을 감찰하소서
10. 대적이 손을 펴서 보물을 빼앗았나이다 주께서 이미 이방인을 금하여 주의 공회에 들어오지 못하게 하셨사오나 저희가 성소에 들어간 것을 예루살렘이 보았나이다
11. 그 모든 백성이 생명을 소성시키려고 보물로 식물들을 바꾸었더니 지금도 탄식하며 양식을 구하나이다 나는 비천하오니 여호와여 나를 권고하옵소서

예레미야애가 1장 전체 본문 보러가기 

고난의 무게 속에서 희망의 빛을 보다 – 예레미야애가 1장 7절~11절 설교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예레미야애가 1장 7절에서 11절까지 우리가 오늘 함께 깊이 묵상해볼 말씀은, 환난과 군박을 당한 예루살렘이라는 도시와 그곳에 사는 백성들의 비탄과 고통을 그린 그림입니다. 이 구절들 속에서 우리는 예루살렘의 환난, 즉 바벨론에 의한 멸망이라는 것을 역사적 맥락 속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사건은 기원전 586년, 구약의 이스라엘 백성들의 정체성과 신앙의 중심지였던 예루살렘이 무너진 사건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환난 속에서, 백성들은 당시를 회상하며 과거의 즐거웠던 시절을 기억합니다. 한때는 찬란하고 우아한 도시였던 예루살렘이 이방인의 손에 의해 파괴되고 도민들은 적의 조롱을 받는 상황이었습니다. 도시는 큰 죄를 범하였고, 그로 인해 추락하였다고 말합니다. 이는 신앙의 함락을 상징하는 것으로, 백성들이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멀어진 결과를 반영합니다.

이 구절들의 중심에 있는 것은 도시의 고통과 그에 대한 하나님의 존재입니다. 백성들은 높은 자리에서 낮아진 자신들의 처지를 탄식하며, 대적에 의해 빼앗긴 보물과 식량의 교환, 살아남기 위한 투쟁 등으로 인해 극심한 고난을 경험합니다. 동시에, 이 구절들은 여호와에 대한 부르짖음으로 끝맺음집니다. 여호와께 호소함으로써, 예레미야는 아픔 속에서도 여전히 하나님이 자신들과 함께 계심을 확신하며, 그에 대한 의존을 호소합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우리는 여러 형태의 환난과 고난에 직면합니다. 이 슬픔은 경제적 파산, 정신적 우울, 신체적 질병, 사회적 고립 등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바로 지금 이 시간에도 많은 이들이 삶의 투쟁에서 불안과 절망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마치 예레미야애가에서 읽듯이, 우리의 도시와 공동체에도 예루살렘이 겪었던 고난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고난의 시간 속에서도 하나님이 계시다는 것입니다. 예레미야애가에서 백성들의 탄식과 하나님께 대한 부르짖음은 신실하신 하나님께 대한 믿음과 소망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역사적 사건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이 우리가 당면한 어려움 속에서도 우리와 함께 계시며, 우리의 애통을 들으시고, 치유의 길을 열어주신다는 것을 배웁니다.

때로 우리는 예루살렘 백성처럼 너무나 큰 환난과 고통에 직면하여 우리의 힘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역사는 죄악 속에서도 하나님이 인도하시는 손길을 증거합니다. 실제로, 예루살렘의 멸망이후 이스라엘 백성들은 바벨론 포로로 끌려갔지만, 결국엔 하나님의 은혜로 고향으로 돌아올 기회를 얻었습니다. 이것은 하나님의 약속의 성취이며, 그 약속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성도 여러분,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 어려움과 시련을 피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예레미야애가가 우리에게 가르치듯, 우리 공동체의 어려움과 환난 속에서도 신앙과 소망을 잃지 말고, 하나님의 구원의 약속에 굳건히 의지합시다. 우리의 부름과 소명을 삼가 이행하며, 고난의 무게 속에서도 희망의 빛을 보라는 것입니다.

고난이 깊을수록 그리스도의 사랑과 위로가 우리에게 더욱 필요합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의 인생에서 일하시며, 우리의 부르짖음을 들으시고, 우리의 탄식을 보시며, 응답하심을 믿으십시오. 예루살렘 백성의 탄식과 같은 우리의 기도가 하나님의 자비로운 은혜를 끌어내어 이 땅에서 하나님나라의 실현을 가져올 것입니다.

우리가 부름받은 소명을 잊지 말고,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하나님이 우리를 통해 어떤 치유와 회복의 역사를 이루실지 기대하며, 모든 환난과 군박 중에서도 하나님의 충성을 의지하며 살아갑시다. 아멘.

성경 예레미야애가에 관하여

예레미야애가는 예루살렘의 멸망과 유다 백성의 바빌론 포로 생활을 애도하는 다섯 편의 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책은 하나님의 심판이 공의로우며, 죄에 대한 결과임을 보여줍니다. 동시에, 예레미야는 유다 백성의 깊은 슬픔과 절망을 표현하며, 그들의 죄를 인정하고 하나님의 자비를 간구합니다. 예레미야애가는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자비를 잊지 말고, 회개와 하나님께 돌아갈 것을 촉구하며, 고난 중에서도 희망을 찾을 수 있음을 상기시킵니다.

그 중 예레미야애가 1장은 예레미야 선지자가 예루살렘의 파괴와 이스라엘의 멸망을 애도하는 시가 담겨있습니다. 이 장에서는 예루살렘의 영광이 무너지고, 하나님의 진노와 심판이 이루어짐을 보여줍니다. 예레미야는 이를 통해 이스라엘의 죄와 패역으로 인해 재앙이 내려온 것을 애도하며, 하나님께 회개하고 돌아오라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이 장은 우리에게 죄와 회개의 중요성을 상기시키며, 하나님의 은혜와 용서를 간절히 구하고 삶을 회개와 순종으로 채우는 동기를 부여합니다.

예레미야애가 1장 관련 성경 및 설교 읽기

제임스 권의 성경 묵상 사이트에서는 성경 본문과 그에서 비롯한 설교문을 매일 업로드 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