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애굽기 32장 30절~35절 설교 – 모세의 중보와 하나님의 공의

출애굽기 32장 30절~35절-모세의 중보와 하나님의 공의

출애굽기 32장 30절~35절 본문

30. 이튿날 모세가 백성에게 이르되 너희가 큰 죄를 범하였도다 내가 이제 여호와께로 올라가노니 혹 너희의 죄를 속할까 하노라 하고
31. 여호와께로 다시 나아가 여짜오되 슬프도소이다 이 백성이 자기들을 위하여 금신을 만들었사오니 큰 죄를 범하였나이다
32. 그러나 합의하시면 이제 그들의 죄를 사하시옵소서 그렇지 않사오면 원컨대 주의 기록하신 책에서 내 이름을 지워버려주옵소서
33.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누구든지 내게 범죄하면 그는 내가 내 책에서 지워버리리라
34. 이제 가서 내가 네게 말한 곳으로 백성을 인도하라 내 사자가 네 앞서 가리라 그러나 내가 보응할 날에는 그들의 죄를 보응하리라
35. 여호와께서 백성을 치시니 이는 그들이 아론의 만든 바 그 송아지를 만들었음이더라

출애굽기 32장 전체 본문 보러가기 

모세의 중보와 하나님의 공의 – 출애굽기 32장 30절~35절 설교

그날 이스라엘은 진정으로 잊을 수 없는 고통과 죄의 무게를 느낀 날이었습니다. 여호와의 종 모세가 시내산에서 하나님의 법을 받고 내려올 때, 그가 목격한 것은 어긋난 신앙과 금송아지를 향한 백성의 무도한 춤이었습니다. 출애굽기 32장 30절에서 35절까지의 말씀은 이스라엘 백성이 저지른 심각한 죄를 직면하고, 모세가 하나님 앞에서 중보자로 나서는 깊이 있는 순간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상황은 심각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가나안으로 가는 여정 중, 그들을 이끌었던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잃고 우상을 만들어 숭배함으로써 큰 죄를 범했습니다. 모세는 백성들을 대신해 하나님 앞에 나아갔습니다. 그의 중보는 깊은 슬픔과 연민, 나아가 자신의 구원보다 백성의 구원을 우선시하는 철저한 헌신의 모습을 우리에게 보여줍니다. “원컨대 주의 기록하신 책에서 내 이름을 지워버려주옵소서”라는 그의 간구는 십자가에서 우리를 위해 자신의 목숨을 바치신 예수님의 희생을 연상시킵니다.

하나님의 대답은 분명하고 교훈적입니다. 그분은 죄를 지은 자를 용서하지 않으신다는 원리를 세우십니다. “누구든지 내게 범죄하면 그는 내가 내 책에서 지워버리리라.” 이는 하나님의 정의와 공의가 살아 있음을, 그분이 죄를 보고만 있지 않으시며, 그분의 법을 어긴 자에게는 그 책임을 물으실 것을 선언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하나님은 모세를 통해 그분의 사랑과 긍휼, 중재의 가능성을 엿보게 하십니다.

현재 우리의 삶을 이 본문에 비추어 볼 때, 우리는 자신의 죄와 대면해야 합니다. 또한, 우리는 우리의 중보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의 사랑과 긍휼을 경험합니다. 예수님은 우리를 위해 죽으시고 부활하셨으며, 우리의 죄를 사하시고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정체성을 회복케 하셨습니다. 우리의 삶은 이러한 구원의 은혜에 의해 정의되어야 합니다. 우리도 모세처럼 타인을 위한 중보의 역할을 감당해야 하며, 사랑과 사죄의 메시지를 전하는 데 힘써야 합니다.

이스라엘이 금송아지를 만든 죄로 인해 하나님이 치심을 받았듯이, 우리 삶에서 하나님을 대적하고 하나님의 명령을 어기는 모든 행위는 심판을 받을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그 중보하시는 사랑은 우리가 참회하고 돌이킬 때마다 우리와 연합하실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끊임없이 우리를 찾으시고, 손을 펴주시며, 우리를 용서하시는 하나님은 우리 삶에 풍부한 은혜를 부어주실 준비가 되어 계십니다.

결론적으로, 출애굽기 32장의 이 구절들은 모세의 중보와 하나님의 공정한 심판, 그리고 용서와 구원의 가능성을 우리에게 보여줍니다. 하나님의 거룩한 공의와 사랑, 긍휼의 균형을 이해하며, 우리 자신뿐 아니라 주변 이웃을 위해서도 기도하고 변화를 추구하는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우리의 모든 죄를 속하시고 우리를 새로운 삶으로 인도하시는 하나님의 은혜가 여러분 가운데 있기를 기도합니다. 아멘.

성경 출애굽기에 관하여

출애굽기는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의 노예 상태에서 해방되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을 다룹니다. 하나님은 모세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을 이집트의 속박에서 구출하시고, 홍해를 가르는 기적을 통해 그들을 구원하십니다. 이후, 시내산에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십계명을 포함한 율법을 주시며, 그들과 언약을 맺습니다. 출애굽기는 하나님의 구속 행위와 그분의 백성에 대한 요구사항을 설명하며, 이스라엘의 정체성과 신앙의 기초를 세우는 역할을 합니다.

그 중 출애굽기 32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의 명령을 배반하고 금소와 함께 우상을 만들어 숭배하는 사건을 다룹니다. 모세가 하나님과의 교통이 끊어진 동안 백성은 죄악에 빠져들고, 하나님의 진노를 받게 됩니다. 그러나 모세는 백성을 위해 중보하며 하나님의 은혜를 구합니다. 이 장은 우리에게 순종과 배반의 대립을 보여주며, 하나님의 은혜와 용서를 통해 회개하고 순종하는 삶을 살아가야 함을 깨닫게 합니다.

출애굽기 32장 관련 성경 및 설교 읽기

제임스 권의 성경 묵상 사이트에서는 성경 본문과 그에서 비롯한 설교문을 매일 업로드 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

글쓴이: 제임스 권

일리노이주의 작은 도시에서 하나님을 섬기며 지내는 목사입니다. 많은 분들이 하나님과 더 깊은 관계를 구축하길 소망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