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애굽기 22장 16절~31절 설교 – 정의와 자비의 신앙 공동체

출애굽기 22장 16절~31절-정의와 자비의 신앙 공동체

출애굽기 22장 16절~31절 본문

16. 사람이 정혼하지 아니한 처녀를 꾀어 동침하였으면 빙폐를 드려 아내로 삼을 것이요
17. 만일 그 아비가 그로 그에게 주기를 거절하면 그는 처녀에게 빙폐하는 일례로 돈을 낼지니라
18. 너는 무당을 살려 두지 말지니라
19. 짐승과 행음하는 자는 반드시 죽일지니라
20. 여호와 외에 다른 신에게 희생을 드리는 자는 멸할지니라
21. 너는 이방 나그네를 압제하지 말며 그들을 학대하지 말라 너희도 애굽 땅에서 나그네이었었음이니라
22. 너는 과부나 고아를 해롭게 하지 말라
23. 네가 만일 그들을 해롭게 하므로 그들이 내게 부르짖으면 내가 반드시 그 부르짖음을 들을지라
24. 나의 노가 맹렬하므로 내가 칼로 너희를 죽이리니 너희 아내는 과부가 되고 너희 자녀는 고아가 되리라
25. 네가 만일 너와 함께한 나의 백성 중 가난한 자에게 돈을 꾸이거든 너는 그에게 채주 같이 하지 말며 변리를 받지 말 것이며
26. 네가 만일 이웃의 옷을 전당잡거든 해가 지기 전에 그에게 돌려보내라
27. 그 몸을 가릴 것이 이뿐이라 이는 그 살의 옷인즉 그가 무엇을 입고 자겠느냐 그가 내게 부르짖으면 내가 들으리니 나는 자비한 자임이니라
28. 너는 재판장을 욕하지 말며 백성의 유사를 저주하지 말지니라
29. 너는 너의 추수한 것과 너의 짜낸 즙을 드리기에 더디게 말지며 너의 처음 난 아들들을 내게 줄지며
30. 너의 소와 양도 그 일례로 하되 칠 일 동안 어미와 함께 있게 하다가 팔일만에 내게 줄지니라
31. 너희는 내게 거룩한 사람이 될지니 들에서 짐승에게 찢긴 것의 고기를 먹지 말고 개에게 던질지니라

출애굽기 22장 전체 본문 보러가기 

정의와 자비의 신앙 공동체 – 출애굽기 22장 16절~31절 설교

출애굽기 22장 16절부터 31절까지의 말씀은 공동체에서의 공정함과 원칙, 옳은 대우를 위한 하나님의 분명한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이 구절들은 혼인과 대인 관계, 영적 행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어떻게 살아야 할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합니다. 하나님께서는 당시의 이스라엘 공동체에 정의와 인도주의의 원칙을 세우며, 가장 취약한 이들에 대한 보호 장치를 마련하셨습니다.

이 말씀은 먼저 혼인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를 다룹니다. 혼인하지 않은 처녀를 꾀어 동침한 경우, 남자는 책임을 지고 빙폐를 드려야 하며, 거절할 경우에는 적절한 벌금을 부과하여 처녀와 그 가족을 보호합니다. 이것은 공동체 내에서 여성의 권리와 존엄성을 보호하는 하나님의 명령을 담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이 말씀은 무당과 우상 숭배, 그리고 가장 불행한 죄악인 짐승과의 행음을 금합니다. 이러한 금지는 영적으로 거룩한 공동체를 이루기 위함입니다. 또한 나그네, 과부, 고아와 같이 취약한 이들에 대한 보호와 저소득층에 대한 공정한 금융 행위에 대한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약자에 대한 하나님의 관심을 드러냅니다.

이러한 지시들은 공정한 사회, 선하고 자비로운 이웃, 올바르고 신성한 생활방식을 위한 명백한 지침입니다. 현대의 신앙 공동체 내에서도 이런 원칙은 매우 중요합니다. 무당이나 우상 숭배를 금하는 것은 우리의 신앙을 오직 하나님께만 집중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상에서도, 신앙인은 하나님을 두려워하며, 우상 숭배는 물론이고 현대 사회의 우상인 물주의, 권력지상주의, 개인주의와 같은 우상들로부터 자신을 지켜야 합니다.

과부와 고아를 보살피고 압제하지 않는 것, 가난한 자에게 빚질 때 이자를 받지 않는 것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공평하고 자비로운 자세를 우리에게 가르칩니다. 매일 우리의 삶에서 만나는 나그네, 이민자 혹은 사회적 소수자들에 대해 우리는 어떤 태도를 보여야 할까요? 우리는 이별의 아픔이나 법적 보호가 없는 상태에서 혼자가 된 이들에게 따듯한 마음과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야 합니다.

모든 첫 출산의 아들과 가축을 하나님께 바치는 것은 하나님의 주권을 기억하는 행위입니다. 마음으로는 “내 것”이라고 여기지만, 사실 모든 것은 하나님께로부터 왔음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우리의 자녀, 재산, 시간 등 우리가 소유하고 있다고 여기는 모든 것을 하나님께 드릴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헌신적인 태도는 우리의 믿음과 신뢰의 깊이를 보여주는 척도가 됩니다.

재판장을 욕하지 말라는 명령은 공동체 내의 권위와 질서를 존중하라는 것입니다. 이는 우리 시대에도 적용되는 원칙으로, 우리는 국가의 법과 질서, 그리고 교회 내의 지도자들을 존중하고, 그들에게 공경을 가져야 합니다. 이는 그들의 인격이 존경받기 때문이 아니라 그들이 감당하는 직책 때문입니다. 하나님이 설정하신 질서 속에서 모든 것을 검토하고 판단하여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들에서 찢긴 고기를 먹지 말라는 명령은 건강과 온전함에 대한 하나님의 우려를 반영합니다. 우리는 건강을 유지하고 성도로서의 거룩함을 지키기 위해 신중하게 먹고 마시며 생활해야 합니다. 이것은 우리 몸이 하나님의 성전임을 기억하고 관리하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이 구절들은 공정성, 자비, 거룩함을 기초로 한 통치 원칙을 제시함으로써 신앙 공동체가 어떤 모습을 갖춰야 하는지를 말해 줍니다. 우리는 정의로운 대우를 추구하며, 가장 약한 이들을 보살피고, 하나님과의 관계를 최우선으로 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하나님의 말씀대로 살면서, 우리가 이 세상에서 거룩한 삶을 살아 내는 것이야말로 참된 신앙의 증거인 것입니다. 아멘.

성경 출애굽기에 관하여

출애굽기는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의 노예 상태에서 해방되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을 다룹니다. 하나님은 모세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을 이집트의 속박에서 구출하시고, 홍해를 가르는 기적을 통해 그들을 구원하십니다. 이후, 시내산에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십계명을 포함한 율법을 주시며, 그들과 언약을 맺습니다. 출애굽기는 하나님의 구속 행위와 그분의 백성에 대한 요구사항을 설명하며, 이스라엘의 정체성과 신앙의 기초를 세우는 역할을 합니다.

그 중 출애굽기 22장은 하나님의 법에 따라 사랑과 공의로 살아가는 방법을 가르치는 이야기입니다. 이 장에서는 다양한 상황에서의 법적인 규정과 원칙이 제시됩니다. 하나님은 빈곤한 이웃을 돕고, 도둑질을 하지 않고, 소외된 이들을 배려하며, 정직한 거래를 하도록 우리에게 명령하십니다. 이 장은 우리에게 하나님의 사랑과 공의를 따르는 삶의 방향을 제시하며, 우리가 서로를 사랑하고 배려하는 도덕적인 삶을 살도록 동기를 부여합니다.

출애굽기 22장 관련 성경 및 설교 읽기

제임스 권의 성경 묵상 사이트에서는 성경 본문과 그에서 비롯한 설교문을 매일 업로드 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

글쓴이: 제임스 권

일리노이주의 작은 도시에서 하나님을 섬기며 지내는 목사입니다. 많은 분들이 하나님과 더 깊은 관계를 구축하길 소망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